압류/처분/집행
원고 A 주식회사는 피고 B와 D 주상복합 신축공사 도급계약을 체결했으나, 공사 중단에 합의하며 피고에게 3억 1천만원의 합의금을 받기로 했습니다. 피고는 이 중 5천만원만 지급하고 나머지를 미지급했으며, 원고의 다른 채권자 E가 원고의 피고에 대한 공사대금 채권 중 1억 3천1백8십4만3천5백7십5원에 대해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았습니다. 이에 피고는 해당 금액에 대한 원고의 청구는 부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채권압류된 부분에 대해서는 원고가 당사자 적격을 상실하여 청구를 각하하고, 압류되지 않은 나머지 1억 2천8백1십5만6천4백2십5원과 그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피고가 원고에게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인 A 주식회사는 피고인 B로부터 D 주상복합 신축공사를 수급했습니다. 이후 2018년 12월 3일, 양 당사자는 공사를 중단하는 '타절 합의'를 했고, 피고가 원고에게 310,000,000원의 합의금을 지급하기로 2019년 2월 22일에 확약했습니다. 그러나 피고는 이 중 50,000,000원만 지급하고 나머지를 미지급했습니다. 문제는 원고의 또 다른 채권자인 E가 원고의 피고에 대한 공사대금(합의금) 채권 중 131,843,575원에 대해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신청했고, 이 명령이 2018년 11월 13일 피고에게 송달되었다는 점입니다. 원고는 미지급된 합의금 전액을 청구하면서 채권압류가 합의금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고, 피고는 압류된 금액에 대해서는 원고가 청구할 당사자 적격이 없다고 맞섰습니다. 또한 피고는 다른 공사 관련 소송에서 발생할 채권으로 원고의 합의금 채무를 상계할 예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채권에 대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의 효력을 인정하여, 압류된 금액에 대한 원고의 청구는 부적법하다고 보았습니다. 반면, 압류되지 않은 나머지 합의금에 대해서는 피고가 원고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으며, 피고가 주장한 상계 주장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원고는 전체 청구 금액 중 일부에 대해서만 승소했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와 유사한 문제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