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
원고들이 피고 D 주식회사에 보험금을 청구하였으나 하급심에서 기각되었고 이에 대법원에 상고하였으나 대법원은 해당 사건이 소액사건심판법의 적용을 받는 소액사건이므로 법이 정한 특별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한 상고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원고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한 사건입니다.
원고들은 보험회사인 D 주식회사를 상대로 보험금 지급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으나 원심에서 패소하자 대법원에 상고를 제기했습니다. 대법원은 이 사건을 소액사건으로 보아 상고 가능 여부를 판단했습니다.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에 따라 소액사건의 상고가 가능한지 여부가 핵심 쟁점입니다.
대법원은 원고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원고들이 부담하도록 결정했습니다.
원고들의 상고가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에 정해진 상고 허용 사유에 해당하지 않아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은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가 핵심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이 법은 소액사건에 대한 신속한 재판을 위해 상고를 엄격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에 따르면 소액사건은 법률, 명령, 규칙, 처분의 해석이 대법원의 종전 판례와 상반될 때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대법원에 상고할 수 있습니다. 즉 단순한 사실관계 오인이나 증거 판단의 문제는 소액사건에서는 대법원까지 상고할 수 없도록 한 것입니다. 이 판결에서 대법원은 원고들의 상고 이유가 위 제3조에 해당하는 특별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소액사건은 소송 목적의 값이 3천만원을 초과하지 않는 금전 소송을 말합니다. 이러한 소액사건은 신속한 처리를 위해 1심과 2심에서 최종 확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대법원까지 상고하는 것이 매우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소액사건으로 분류되는 분쟁에서는 대법원 상고 가능성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단순한 사실관계의 다툼이나 증거 판단에 대한 불만으로는 대법원에 상고하기 어렵습니다. 만약 소송 금액이 소액사건 기준에 해당하고 대법원에 상고를 고려한다면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에서 정한 상고 허용 사유에 해당할 만한 법리적 쟁점이 있는지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