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
망인 C이 사망하자 자녀 중 한 명인 원고 A가 다른 자녀인 피고 B에게 유류분 반환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망인은 생전에 피고 B에게 포항시 북구의 대지를 포함한 여러 부동산을 증여했고 원고 A는 이 증여로 인해 자신의 유류분이 침해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유류분 산정 방식에 따라 망인의 전체 재산과 증여 재산을 합산하고 원고와 피고를 비롯한 다른 상속인들의 특별수익을 고려하여 원고의 유류분 부족액을 산정했습니다. 피고 B가 원고 A의 유류분을 초과하여 증여받았으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부족액을 반환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아버지인 망인 C이 사망한 후 자녀들 간에 상속 재산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망인이 생전에 자녀 중 한 명인 피고 B에게 11억 5천만 원 상당의 부동산들을 증여하면서 다른 자녀인 원고 A는 자신의 법정 상속분에 미치지 못하는 재산을 상속받게 되어 유류분 권리를 침해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원고는 피고가 증여받은 재산 때문에 자신의 유류분이 부족해졌으므로 피고에게 그 부족액을 반환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피고는 일부 증여받은 재산이 매매에 의한 것이라거나 원고도 증여받은 재산이 있다고 주장하며 유류분 반환 의무를 다투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망인이 생전에 피고에게 증여한 부동산들이 유류분 산정의 기초 재산에 포함되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피고가 일부 부동산을 매수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증여로 판단했습니다. 둘째 원고 및 다른 상속인들에게 증여된 금전이 특별수익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해당 금전을 상속 개시 시점의 화폐 가치로 어떻게 환산할 것인지입니다. 셋째 위와 같이 산정된 재산들을 바탕으로 원고의 유류분 부족액이 얼마인지 그리고 피고가 그 부족액을 반환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입니다. 마지막으로 유류분 반환 방식이 원물반환이 아닌 가액반환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그리고 지연손해금의 기산일은 언제인지도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 B가 원고 A에게 62,982,271원 및 이에 대해 2022년 6월 28일부터 2023년 5월 24일까지는 연 5%의,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2%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 A의 나머지 청구는 기각되었으며 소송비용 중 10%는 원고가, 나머지 90%는 피고가 각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법원은 망인이 생전에 피고 B에게 증여한 재산들이 유류분 산정의 기초 재산에 포함되며 이로 인해 원고 A의 유류분이 침해되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피고 B는 원고 A에게 62,982,271원의 유류분 부족액과 지연손해금을 금전으로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최종적으로 결론 내렸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다음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유사한 상속 분쟁 상황에 놓인 경우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