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대차
임차인 A는 임대인 C와 2022년 3월 18일부터 2024년 3월 17일까지 임대차보증금 7,300만 원으로 하는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 만료 2개월 전인 2024년 1월 15일에 A는 C에게 갱신 거절 통지를 보냈고, 이는 다음 날 C에게 도달하여 계약은 만료로 종료되었습니다. 그러나 C는 임대차보증금 7,300만 원을 반환하지 않았습니다. C는 현재 사기 혐의로 순천교도소에 구속되어 재판 진행 중이며, 이에 A는 임대차보증금 반환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임차인 A는 임대인 C와 보증금 7,300만 원에 대한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 기간 만료 2개월 전 적법하게 갱신 거절 통지를 하여 계약은 종료되었으나, 임대인 C가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았습니다. 더욱이 임대인 C는 현재 전세 사기 혐의로 구속되어 재판을 받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임차인 A는 법원에 임대차보증금 반환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여 자신의 권리를 찾고자 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임대차 계약이 적법하게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임대차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 임차인이 해당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임대인이 형사 사건으로 구속되어 재판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임대차보증금 반환 의무가 계속 유효하게 발생하는지, 그리고 법원이 임대인의 답변 없는 상황을 어떻게 판단할 것인지가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법원은 피고 C가 원고 A에게 7,300만 원을 지급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소송 비용은 피고가 부담하며, 이 판결은 가집행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임대인이 법정에서 답변하지 않아 청구 원인을 인정한 것으로 간주하여 원고의 청구를 전부 인용한 것입니다.
법원은 임차인 A의 손을 들어주어, 임대인 C에게 계약 종료 후에도 반환하지 않았던 임대차보증금 7,300만 원 전액을 A에게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이 판결은 임대인의 답변서 미제출로 인한 자백간주 규정을 적용하여 신속하게 내려졌으며, 임차인의 보증금 반환 청구가 정당함을 확인한 결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