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금 · 부동산 매매/소유권
학교법인인 원고가 피고들에게 염전 토지를 임대했으나 계약 기간이 만료된 후에도 피고들이 토지를 계속 점유하자, 원고가 토지 인도와 미지급 임대료 및 부당이득금 반환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피고들은 이에 대해 염전 개선에 들어간 비용(필요비)과 건물 신축 비용(지상물 매수)을 반소로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토지 인도 및 미지급 임대료, 부당이득금 반환 청구를 일부 인용하면서, 피고들의 필요비 상환 청구 및 지상물 매수 청구는 계약상 포기 약정 등을 이유로 모두 기각했습니다.
학교법인 A는 1996년부터 피고 B와 C에게 각각 염전 토지를 임대하여 염전 운영을 허락했습니다. 매년 계약을 갱신해 오다가, 2017년 12월 7일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고 2019년 1월 다시 1년간 연장했습니다. 계약서에는 임대료를 '천일염 3,000포대의 시세'로 약정했으나, 실제로는 돈으로 지급했습니다. 피고 C은 임대차 기간 중 염전에 숙소용 건물을 신축했으며, 피고 B와 C는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염전 바닥재 개선사업에 각각 53,723,000원과 55,731,000원을 지출했습니다. 2019년 11월 27일 원고는 계약 만료를 통보하며 토지 원상복구를 요구했으나, 피고들은 계약 종료일인 2019년 12월 31일 이후에도 계속 염전을 운영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들에게 토지 인도와 함께 미지급 임대료(2019년) 및 무단 점유로 인한 부당이득금(2020년 이후)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반면, 피고들은 염전 개선 비용에 대한 필요비 상환과 C의 경우 신축 건물에 대한 지상물 매수 청구를 반소로 제기하며 맞섰습니다.
임대차 계약 종료 후 임차인의 토지 인도 의무 여부, 미지급 임대료 및 토지 무단 사용에 따른 부당이득금 또는 불법행위 손해배상금의 범위, 임차인이 지출한 염전 바닥재 개선 비용(필요비)에 대한 상환 청구권 인정 여부, 임차인이 신축한 숙소용 건물에 대한 지상물 매수 청구권 인정 여부, 일부 금액 공탁의 채무 변제 효력
이 사건 판결은 임대차 계약이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임차인이 토지를 계속 사용하면 토지 인도와 함께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특히, 임대차 계약서에 필요비 상환 청구권이나 지상물 매수 청구권을 포기하는 특약이 명시되어 있고 그 약정이 유효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임차인은 해당 권리를 주장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또한, 차임 채무를 공탁할 때에는 채무 전액을 공탁해야 유효한 변제가 된다는 점도 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