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 기타 형사사건
농업회사법인 D 주식회사의 전 대표이사 A, 현 대표이사 B, 그리고 경리과장 C가 공모하여 금융기관 대출 연장을 목적으로 실물 거래 없이 허위 계산서를 발급하거나 실제 공급가액보다 부풀려 거짓 계산서를 발행하고 수취하는 등의 조세범처벌법 위반 및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위반(허위세금계산서교부등) 혐의로 기소된 사건입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의 공모 관계를 인정하고, 각 피고인들에게 징역형(집행유예 포함) 및 벌금형을 선고했습니다. 특히 D 주식회사는 대표이사와 종업원의 범행에 대한 양벌규정에 따라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
D 주식회사의 전 대표이사 A는 회사를 현 대표이사 B에게 양도하면서 40억 원 가량의 법인 채무를 B가 인수하기로 계약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F에 대한 9억 6천만 원의 채무가 해결되지 않자, ㈜F 차장으로부터 채무 대신 허위계산서를 요구받았습니다. 또한 D 주식회사의 금융기관 대출 연장을 위해서는 전년도 매출 실적을 유지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었습니다. 이에 A은 2021년 2월경 경리과장 C에게 '대출 연장을 위해서는 가공매출을 일으켜야 한다'고 지시했고, C는 이 내용을 B의 아들인 H을 통해 B에게 전달하여 B의 승낙을 받았습니다. 이 공모에 따라 C는 여러 거래처들과 실물 거래 없이 허위 계산서를 발행하거나 실제 공급가액을 부풀려 거짓 계산서를 주고받는 행위를 실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A은 자신이 운영하는 농업회사법인 I 주식회사와의 거짓 계산서 발행에도 관여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D 주식회사의 금융기관 대출 연장을 목적으로 한 허위 및 거짓 계산서 발급, 수취 행위가 조세범처벌법 및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을 위반하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전 대표이사 A, 현 대표이사 B, 경리과장 C 사이에 범행 공모 관계가 성립하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현 대표이사 B가 일부 허위 계산서 발행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이 그의 공동정범으로서 책임을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중요했습니다.
법원의 판결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이 D 주식회사의 금융기관 대출 연장 및 채무 해결이라는 목적 하에 공모하여 실물 거래 없이 허위 계산서를 발행하고, 실제 공급가액보다 부풀리거나 가공 거래로 거짓 계산서를 주고받은 사실을 모두 인정했습니다. 특히 현 대표이사 B의 경우, 개별 허위 계산서 발행에 구체적으로 지시하지 않았더라도 가공매출을 일으키는 것을 승낙하고, 전 대표 A의 지시를 따르도록 한 점이 공동가공의 의사로 인정되어 공동정범으로서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허위 및 거짓 계산서 발행 및 수수 행위가 국가의 정당한 조세징수권과 건전한 상거래 질서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중대한 범죄임을 강조하며, 각 피고인의 역할, 반성 태도, 범죄 전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형을 선고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슷한 문제 상황에서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