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 기타 형사사건
피고인 A는 데이팅 앱을 통해 알게 된 보이스피싱 조직원의 제안을 받아 현금 수거책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피해자 C로부터 1,150만 원, 피해자 G으로부터 3,000만 원 등 총 4,150만 원의 보이스피싱 피해금을 현금으로 받아 지정된 계좌에 나누어 송금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고 범죄수익의 취득 및 처분 사실을 숨기려 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데이팅 앱을 통해 알게 된 사람으로부터 '외근직 일을 도와달라'는 제안을 받고 보이스피싱 조직에 가담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하여 저금리 대출을 미끼로 피해자들을 속이는 보이스피싱 조직의 지시에 따라, 부산 지역에서 피해자 C로부터 1,150만 원, 피해자 G으로부터 3,000만 원을 직접 현금으로 수거했습니다. 수거한 돈은 피고인의 수당을 제외하고 보이스피싱 조직이 지정한 여러 계좌로 송금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여 범죄 수익의 흐름을 숨기려 했습니다. 피해자들은 금융기관을 사칭하는 거짓말에 속아 대출을 기대하며 현금을 전달했으나, 실제로는 보이스피싱 조직에게 재산을 편취당했습니다.
피고인이 보이스피싱 조직의 현금 수거책으로서 피해자들을 직접 기망하여 금원을 편취한 사기죄가 성립하는지, 피해금을 여러 계좌로 나누어 송금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한 행위가 범죄수익은닉 및 주민등록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원은 피고인 A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은 보이스피싱 현금 수거 및 송금책으로서 총 4,150만 원의 피해금을 편취하고 범죄수익은닉 및 주민등록법 위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사회적 해악이 크고 조직적인 특성상 가담 정도와 무관하게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어, 초범이고 반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징역형이 선고되었습니다.
이 사건에는 크게 사기죄,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주민등록법 위반이 적용되었습니다.
낯선 사람에게서 '고수익 외근직'이나 '단순 현금 수거/송금 업무' 제안을 받는 경우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통장이나 신분증 등 개인 금융 정보나 신분 정보를 요구하거나, 현금을 직접 전달받아 타인에게 송금하라는 지시를 받는 경우 100% 범죄라고 의심해야 합니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단순 가담자라도 사기죄의 공동정범으로 인정될 수 있으며, 범죄수익은닉 및 타인 정보 부정 사용 등의 혐의가 추가되어 중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피해가 발생한 경우 즉시 경찰이나 금융기관에 신고해야 하며, 자신이 보이스피싱에 연루될 것 같다는 의심이 들면 지체 없이 관계 기관에 문의하여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한번 전달된 범죄 수익은 회수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초기에 의심하고 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