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행 · 상해 · 교통사고/도주 · 공무방해/뇌물
피고인 A는 과거 공무집행방해 등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전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소 후 누범 기간을 포함한 상당한 기간 동안 상습적으로 술에 취해 택시기사를 폭행하여 상해를 입히거나 영업 중인 상점에서 소란을 피워 업무를 방해하고 손님 및 업주를 폭행하는 등 여러 건의 범죄를 저질렀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반복적인 범행과 피해자들에게 입힌 피해 정도 등을 고려하여 피고인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다음과 같은 여러 건의 범죄를 저질렀습니다.
본 사건의 주요 쟁점은 피고인이 택시기사를 폭행한 행위가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운행 중'인 자동차의 운전자를 폭행한 것에 해당하는지 여부였습니다. 피고인 측은 택시가 정차한 후에 폭행이 이루어졌다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운행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시 정차한 경우에도 '운행 중'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운전자 폭행치상 혐의를 인정했습니다. 또한 피고인의 반복적인 범죄 전력과 누범 기간 내 범행이 양형에 미치는 영향이 주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피고인 A에게 징역 3년을 선고한다.
법원은 피고인이 누범 기간 중 상습적으로 폭력 범죄와 업무방해 범죄를 저질렀고, 특히 운행 중인 택시기사를 폭행하여 상해에 이르게 한 점, 다수의 피해자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었음에도 피해 회복 노력이 부족하고 대부분의 피해자가 엄벌을 원하는 점 등을 불리한 정상으로 보았습니다. 또한, 재판이 진행되는 중에도 다른 재소자를 폭행하는 등 준법 의지가 매우 미약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운전자 폭행치상 혐의를 제외한 나머지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인 점, 일부 피해자와 합의했거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점, 그리고 술 문제 개선 의지를 표명한 점 등은 유리한 정상으로 참작되었습니다. 이러한 여러 양형 조건을 종합하여 피고인에게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했습니다.
본 판례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