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혼 · 기타 가사
신청인이 피신청인과의 이혼 및 재산분할, 자녀 양육 등을 청구하였으나, 법원은 부부의 이혼을 허락하지 않고,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과 독립을 지원하며 부부 관계를 회복하고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생활 지침들을 조정 결정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혼인 관계의 파탄보다는 가정의 화해와 존속에 중점을 둔 사례입니다.
신청인 A는 배우자인 피신청인 C와의 혼인 관계가 이미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파탄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원에 이혼을 청구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법률상 이혼이 성립될 경우에 대비하여 피신청인 C에게 재산분할로 2억 8,447만 원 및 이에 대한 이자 지급, 미성년 자녀들(E, F)에 대한 친권자 및 양육자로 자신을 지정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또한, 피신청인 C가 자녀 1명당 매월 100만 원씩의 장래 양육비를 사건본인들이 성년에 이르기 전날까지 지급하도록 청구했습니다. 조정비용은 피신청인이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신청인 A가 주장하는 혼인 관계 파탄 여부와 그에 따른 이혼 허용, 그리고 재산분할 및 미성년 자녀들의 친권자 및 양육자 지정, 양육비 지급 여부였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쟁점에 대해 이혼을 허락하기보다는 부부 관계 회복과 자녀 복리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혼인 유지를 위한 구체적인 조건들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결정하였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은 결정을 내렸습니다.
법원은 신청인 A의 이혼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대신 부부가 이혼하지 않으며 자녀들의 복리를 최우선으로 하여 혼인 관계를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들을 조정 결정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부부간의 갈등이 혼인 파탄의 정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가정의 회복 가능성과 자녀들의 정서적 안정을 중요하게 고려한 결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의 결정은 주로 민법과 가사소송법의 정신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유사한 가정 갈등 상황에 있는 분들은 다음과 같은 점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