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
이 사건은 유치원 교원인 원고가 해임된 후 유치원 임용권자인 피고 B과 사직에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피고 B의 재임용 거부 통보와 정직 처분이 부당하다며 무효확인과 미지급 임금, 그리고 명예훼손 및 징계권 남용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안입니다. 법원은 원고와 피고 B 사이의 근로관계가 이미 합의 사직으로 종료되었으므로, 이후의 정직 처분 및 재임용 거부 통보에 대한 무효확인 청구와 급여 외 임금 청구는 '확인의 이익' 또는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고 보아 각하했습니다. 그러나 피고 B과 D이 원고의 명예를 훼손한 행위에 대해서는 이미 형사사건에서 유죄 판결이 확정되었으므로, 이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하여 원고에게 총 7천만 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도록 판결했습니다. 피고 주식회사 C에 대한 임금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유치원 교원이었던 원고 A는 피고 B(유치원 임용권자)로부터 해임 처분을 받은 후, 2020년 4월 22일 피고 B과 '원고가 2020년 4월 23일자로 사직한다'는 내용의 합의서를 작성했습니다. 이 합의서에는 피고 B이 원고에게 2020년 5, 6월분 급여를 지급하고 사학연금을 납부하며, 양측이 해임과 급여에 대해 일체의 민·형사상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합의 이후에도 분쟁은 계속되었고, 피고 B은 2020년 11월 26일 원고에 대한 재임용을 거부하고, 2021년 1월 7일에는 원고에게 정직 3월 처분을 내렸습니다. 또한 피고 B과 D은 원고에 대한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명예훼손) 및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어, 2022년 2월 10일 각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의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에 원고 A는 피고 B의 정직 처분 및 재임용 거부 통보가 무효임을 확인하고, 피고 B과 주식회사 C에게 미지급 임금 및 명예훼손 등으로 인한 손해배상금 5,000만 원, 피고 B에게 징계권 및 고소권 남용으로 인한 손해배상금 2,000만 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원고와 피고 B 사이에 작성된 '사직 합의서'의 효력 유무입니다. 원고는 합의서가 피고 B의 기망에 의해 체결되었거나 조건 불이행으로 효력이 소멸했다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둘째, 근로관계가 이미 합의 사직으로 종료된 상황에서 이루어진 재임용 거부 통보와 정직 처분에 대한 '무효확인' 청구가 법률상 '확인의 이익'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셋째, 사직 합의서에 포함된 '부제소 합의'가 피고 B에 대한 미지급 임금 청구에 효력을 미치는지 여부입니다. 넷째, 유치원 운영 법인인 피고 주식회사 C이 임용 계약의 당사자가 아님에도 원고에게 미지급 임금을 연대하여 지급할 책임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다섯째, 피고 B과 D의 명예훼손 행위 및 피고 B의 징계권, 고소권 남용으로 인한 불법행위 책임과 그에 따른 손해배상 인정 여부입니다.
항소심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원고와 피고 B 사이의 근로관계가 이미 합의에 따라 종료되었다는 점을 중요하게 판단하여, 이후의 해고 관련 처분 무효 확인 청구와 급여 외 임금 청구를 부적법하다고 보아 각하했습니다. 이는 '확인의 이익'과 '부제소 합의'의 법리 적용에 따른 것입니다. 다만, 피고 B과 D의 명예훼손 행위와 피고 B의 징계권 및 고소권 남용으로 인한 원고의 손해에 대해서는 배상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이 판결은 근로관계 종료 방식, 합의서의 신중한 작성, 그리고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적 판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