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압류/처분/집행
A 주식회사가 B 주식회사와 C를 상대로 D 일원 사업권 양도양수 및 양도대금 확정지급 계약에 따라 미지급된 약정금 5억 8천7백만 원 및 지연이자를 청구한 사건입니다. 피고들은 계약서 무인 날인으로 인한 무효, 통정허위표시, 기망으로 인한 계약 취소, 이사회 결의 부재, 원고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계약 해제, 실효의 원칙 적용, 계약 조건 불충족 등을 항소 이유로 들었습니다. 그러나 항소심 법원은 피고들의 항소 이유를 모두 받아들이지 않고 제1심 판결과 같이 원고의 청구를 인용하는 판결을 유지했습니다.
A 주식회사는 부산 강서구 D 일원 사업에 대한 사업권 양도양수 및 양도대금 확정지급 계약을 피고 B 주식회사 및 피고 C과 맺었습니다. 이 계약에 따라 A 주식회사는 사업권과 관련 자료를 넘겨주고, 피고들은 약정된 대금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피고들은 계약서에 대표이사 인감이 아닌 무인(지장)만 찍혀있어 계약이 무효라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대출 심사를 위해 형식적으로 작성된 계약이므로 통정허위표시로 무효이며, 원고의 기망 행위가 있었고, 피고 회사의 중요한 계약임에도 이사회 결의가 없었으며, 원고가 계약상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으므로 계약이 해제되었다는 주장도 펼쳤습니다. 더불어 원고가 장기간 권리를 행사하지 않아 '실효의 원칙'에 따라 청구권이 소멸했고, 계약금 및 중도금 지급 조건인 토지 사용 승낙 비율이 충족되지 않았다는 주장도 제기했습니다. 결국 A 주식회사는 미지급된 약정금을 받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고, 1심에서 승소하자 피고들이 이에 불복하여 항소심까지 이르게 되었습니다.
피고들은 항소심에서 다음과 같은 주장들을 펼쳤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피고들의 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항소비용은 피고들이 부담하도록 결정했습니다. 이는 제1심 판결과 동일하게 원고 A 주식회사의 청구를 인용하여 피고 B 주식회사와 C가 연대하여 원고에게 약정금 5억 8천7백만 원 및 지연이자를 지급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법원은 피고들의 항소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다음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거나 주장되었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