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행
피고인 A는 2020년 12월 16일 부산 연제구의 한 건물 화장실 앞에서 담배를 피우던 피해자 C와 그 친구들에게 시비를 걸며 사진을 찍었습니다. 이에 피해자가 항의하자 화가 나 피해자를 연산역 4번 출구 앞까지 따라가 머리 뒷부분을 1회, 뺨을 1회 때리는 폭행을 가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사건은 폭행죄에 해당하며 폭행죄는 피해자가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표시하면 공소를 제기할 수 없는 '반의사불벌죄'에 속합니다. 피해자 C는 공소가 제기된 이후인 2021년 7월 30일 피고인 A에 대한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를 철회하였고, 이에 법원은 피고인에게 공소 기각 판결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가 건물 화장실 앞에서 담배를 피우는 피해자 C 일행에게 시비를 걸고 사진을 찍는 행동으로 갈등이 시작되었습니다. 피해자의 항의에 피고인이 격분하여 피해자를 따라가 폭행을 가한 사건입니다.
폭행죄의 반의사불벌죄 특성 및 피해자의 처벌 불원 의사표시 철회의 효력 여부
이 사건 공소를 기각한다.
법원은 폭행죄가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공소를 제기할 수 없는 '반의사불벌죄'임을 확인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피해자가 공소 제기 이후인 2021년 7월 30일 피고인에 대한 처벌 희망 의사를 철회했으므로,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6호에 따라 공소를 기각하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 사건은 '반의사불벌죄'의 원칙이 적용된 사례입니다.
형법 제260조 제3항 (폭행죄):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6호 (공소 기각 판결):
결론적으로 이 판결은 폭행죄가 반의사불벌죄임을 명확히 하고, 피해자의 처벌 불원 의사가 형사 절차에 미치는 결정적인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폭행죄와 같이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처벌 여부가 결정되는 '반의사불벌죄'는 합의가 매우 중요합니다. 사건 발생 초기에 피해자와 원만하게 합의하고 처벌 불원 의사를 받는 것이 형사 처벌을 피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피해자의 처벌 불원 의사는 공소 제기 이후에도 효력이 있으므로, 재판 중이라도 합의를 통해 공소 기각 판결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소한 시비가 큰 싸움으로 번지지 않도록 감정 조절이 필요하며, 타인의 행동에 불만을 가질 때는 직접적인 충돌보다는 법적 절차나 관리자 개입 등 현명한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