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기
재단법인의 고용본부장으로 근무하던 피고인 A는 자신의 직위를 이용하여 허위의 용역 계약 및 물품 구매를 꾸며 계약 대금을 편취하고, 실제 출장을 가지 않았음에도 허위의 출장비를 신청하여 편취하였습니다. 또한 이러한 범행을 은폐하기 위해 허위의 매출 전표 등 사문서를 위조하고 이를 행사한 혐의로 기소되어 징역 1년 6월을 선고받았습니다.
피고인 A는 재단법인 B의 고용본부장으로서 용역 계약 및 물품 구매를 담당하는 직무상의 지위를 악용했습니다. 그는 ㈜D 대표 C 등과 공모하여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거나 과장된 용역 계약 및 물품 구매 내역을 작성한 후, 이를 재단에 제출하여 계약 대금 합계 14,771,000원을 편취했습니다. 또한 2017년 4월 27일부터 2018년 1월 25일까지 실제 출장을 가지 않았음에도 KTX 발권 후 취소된 승차권을 첨부하는 등의 수법으로 허위 출장비를 신청하여 총 665,600원을 편취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피고인은 지출 증빙 자료를 만들기 위해 L조합 명의의 허위 매출 전표 등 사문서 11장을 위조하고 이를 재단 회계 담당자에게 제출하여 행사하는 등 대담한 범죄 행각을 벌였습니다.
피고인 A는 재단의 고용본부장이라는 직위를 이용하여 조직을 속이고 부당하게 이득을 취했으며, 이를 위해 여러 차례에 걸쳐 문서 위조와 행사라는 추가 범죄까지 저질렀습니다. 핵심 쟁점은 피고인의 사기 행위가 조직 내부 통제 시스템을 어떻게 회피했는지, 그리고 공모자들과의 역할 분담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여부입니다.
재판부는 피고인 A에게 징역 1년 6월을 선고하였습니다.
피고인 A는 허위 계약 대금 편취, 허위 출장비 편취, 사문서 위조 및 위조 사문서 행사 등 여러 범죄 혐의가 모두 인정되어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이는 조직 내 고위 직위자가 저지른 횡령 및 사기 사건에 대한 엄중한 처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번 사건에서 피고인에게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직은 다음과 같은 점을 참고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