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압류/처분/집행
이 사건은 피고인들이 허위의 가상화폐 'AR코인'과 'AL 사업'이라는 다단계 유사조직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약 180억 원 이상의 투자금을 편취한 사기, 유사수신행위의규제에관한법률위반, 방문판매등에관한법률위반 사건입니다. 피고인들은 태국에 유령회사를 설립하고 AR코인이 대기업이 개발한 혁신적인 핀테크 가상화폐인 것처럼 거짓 광고하였으며, 자체 거래소를 통해 AR코인 시세가 임의로 조작되는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가치가 상승할 것이라고 속였습니다. 또한, AL 사업을 통해 투자금 대비 높은 후원수당, 추천수당, 직급수당을 약정하며 신규 회원을 계속 유치하는 전형적인 폰지 사기 방식으로 운영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의 범행을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폰지 사기로 판단하여 주범에게 징역 9년 6월을 선고하는 등 엄중하게 처벌했습니다.
피고인들은 Y을 모회사로 하는 G, W, Z, AF 등의 법인을 운영하며 AR코인과 AL 사업을 홍보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인들이 AR코인의 개발 주체, 상용화 가능성, 시세 등에 대해 허위로 광고하여 투자자들을 기망했는지 여부 (사기죄). 둘째, 피고인들이 금융당국의 인허가 없이 불특정 다수로부터 장래 원금 또는 초과 이익 지급을 약정하고 투자금을 모집했는지 여부 (유사수신행위의규제에관한법률위반). 셋째, 피고인들이 관할 관청에 등록하지 않은 다단계 판매 조직을 운영하고, 재화 거래 없이 금전 거래를 하거나 이를 가장했는지 여부 (방문판매등에관한법률위반). 넷째, 여러 피고인들이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조직적으로 범죄를 저지른 공모공동정범 관계가 성립하는지 여부.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의 범행이 암호화폐 열풍을 악용한 전형적인 폰지 사기이며, 조직적이고 계획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저질러진 중대한 범죄임을 인정했습니다. 특히 주범에게는 장기간의 징역형을 선고하여 유사한 범죄에 대한 엄중한 처벌 의지를 명확히 했습니다. 피해자들의 배상명령은 각하되었으나, 이는 형사소송 절차 내에서 배상명령을 내리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피해자들은 민사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투자 제안을 받을 경우 다음 사항들을 반드시 확인하고 주의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