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원고 A는 피고 B가 지인에게 빌린 선박을 운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로 동승자가 사망하자, 피고 B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B가 선박 운행의 책임자로서 안전 의무를 다하지 않은 과실을 인정하여, 총 135,339,256원 및 지연손해금을 원고 A에게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피고 B는 지인으로부터 선박을 무상으로 빌려 운행하던 중 동승자(망인)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망인의 유족인 원고 A는 피고 B에게 선박 운행 책임자로서의 안전 의무를 위반하여 사고가 발생했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이 사건은 선박 소유자가 아닌 운행 책임자에게 사고 책임이 있는지, 그리고 그 책임의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를 다투는 상황입니다.
선박 운행 책임자의 안전 운행 의무 위반 여부 및 과실 비율 산정, 사고로 인한 사망자의 일실수입, 장례비, 유족 및 사망자의 위자료 등 손해배상액 산정
법원은 피고 B의 책임을 65%로 인정하여, 원고 A에게 총 135,339,256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지연손해금은 사고발생일인 2021년 10월 13일부터 일부 금액인 46,414,812원에 대해 2022년 12월 9일까지 연 5%, 나머지 금액인 88,924,444원에 대해 2023년 10월 25일까지 연 5%의 비율로 계산되며,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2%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원고의 나머지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피고 B가 선박 운행의 책임자로서 선박 출발 전 점검, 안전 운행, 선박 전복에 대한 대응 조치 등 기본적인 책임을 주도적으로 수행해야 할 지위에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이에 따라 1심 판결을 변경하여 피고 B의 사고 책임을 65%로 확정하고, 원고 A에게 135,339,256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민법 제750조(불법행위의 내용): 고의 또는 과실로 위법하게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 B는 선박 운행의 책임자로서 선박의 출발 전 점검, 안전 운행 및 선박 전복에 대한 대응 조치 등 안전 의무를 다하지 않은 과실이 인정되어 불법행위 책임이 적용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의 책임을 65%로 제한하여 손해배상액을 산정했습니다.
손해배상액 산정: 사망으로 인한 손해배상은 크게 사망자의 사망으로 인한 일실수입, 장례비, 그리고 망인과 유족에게 발생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등으로 구성됩니다. 법원은 이러한 항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배상액을 결정합니다.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소송이 제기된 이후에 발생하는 지연손해금의 이율을 정하는 법률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법정 이율인 연 5%를 넘어,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연 12%의 가산된 지연손해금 이율이 적용되어 피고의 지연손해금 부담이 가중되었습니다.
선박이나 차량 등 위험성이 있는 운송수단을 빌려 운행할 경우, 소유 여부와 관계없이 운행하는 사람이 운행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출발 전 점검, 안전 운행, 사고 대응 등)을 지게 됩니다. 운전자는 동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위험한 행동을 통제할 기본적인 책임이 있습니다. 사고 발생 시 운전자가 취한 대응 조치는 손해배상 책임 비율 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액은 사망자의 일실수입(사망하지 않았다면 벌었을 소득), 장례비, 그리고 사망자와 유족의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