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약금
원고 A가 피고 B를 상대로 주식 양도대금 1억 9천만 원 및 이에 대한 지연이자를 청구한 사건입니다. 피고 B는 원고 A가 소외 회사에 투자한 금액을 속여서 주식 양도대금이 부풀려졌으므로, 원고 A의 기망행위를 이유로 주식양수도계약 중 양도대금 부분을 취소하고 일부 무효를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피고 B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원고 A가 피고 B를 속였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피고 B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원고 A의 손을 들어준 1심 판결이 정당하다고 보아 피고 B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원고 A는 소외 회사의 주식을 피고 B에게 양도하면서 양도대금을 2억 5천만 원으로 정했습니다. 이 중 6천만 원은 지급되었으나, 나머지 1억 9천만 원이 미지급된 상태였습니다. 피고 B는 원고 A가 소외 회사에 2억 5천만 원을 투자했다고 믿고 주식 양도대금을 정한 것인데, 실제로는 1억 원만 투자금으로 전환되었고 나머지 1억 5천만 원은 C에 대한 대여금으로 남아있었다고 주장하며, 원고 A가 자신을 속였으므로 계약 중 양도대금 부분을 취소하거나 일부 무효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매매대금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원고 A가 피고 B에게 주식을 양도하는 과정에서 소외 회사에 대한 원고 A의 실제 투자 금액을 속여 피고 B를 기망했는지 여부 및 이를 이유로 주식양수도계약의 양도대금 부분을 취소하거나 일부 무효로 할 수 있는지 여부
법원은 피고 B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원고 A가 피고 B를 기망했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원고 A가 C에게 송금한 총 2억 4,925만 원 중 1억 원은 소외 회사에 대한 투자금으로 전환된 사실에 다툼이 없었고, 나머지 1억 5천만 원 가량도 원고 A와 C의 통화 내용, 다른 소송에서의 주장 철회 등 제반 사정을 종합할 때 소외 회사에 대한 투자금으로 전환된 것으로 보았습니다. 이에 따라 피고 B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고 A에게 1억 9천만 원 및 지연이자를 지급하라는 1심 판결을 유지했습니다.
피고 B의 항소는 기각되었고, 항소 비용 또한 피고 B가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피고 B는 원고 A에게 미지급된 주식 양도대금 1억 9천만 원과 이에 대한 지연이자를 지급해야 합니다.
이 사건은 매매대금 청구와 관련하여 피고가 원고의 '기망행위'를 주장하며 계약의 취소 또는 일부 무효를 다툰 사례입니다.
민법 제110조 (사기,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이 조항은 사기나 강박에 의해 이루어진 의사표시는 취소할 수 있다고 규정합니다. 피고 B는 원고 A가 투자 금액을 속여 자신을 기망했다고 주장하며, 이 조항에 따라 계약의 양도대금 부분을 취소하고자 했습니다. 여기서 '기망'이란 사람을 속여 착오에 빠지게 하는 행위를 말하며, 그 착오로 인해 의사표시를 하게 했어야 합니다. 또한 기망의 고의가 있어야 합니다. 법원은 피고가 원고의 기망행위를 충분히 입증하지 못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입증책임의 원칙: 법률 분쟁에서 어떤 사실의 존재를 주장하는 당사자는 그 사실을 증명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 B는 원고 A의 기망행위가 있었다고 주장했으므로, 피고 B가 원고 A의 기망행위와 그로 인해 자신이 착오에 빠져 계약을 체결했다는 사실을 구체적인 증거를 통해 입증해야 할 책임이 있었습니다. 법원은 피고 B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이를 인정하기 부족하다고 보았습니다.
민사소송법 제420조 (항소법원의 심리 범위): 이 조항은 항소심 법원이 제1심 판결의 이유를 그대로 인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항소심 법원이 피고가 항소심에서 추가한 주장에 대해서만 추가로 판단하고, 나머지 부분은 1심 판결의 이유를 그대로 받아들였음을 의미합니다.
계약을 체결할 때 상대방의 진술에만 의존하기보다는 관련된 사실관계를 직접 확인하고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투자금액과 같이 계약의 중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투자 관련 서류, 입금 내역, 계약서 조항 등을 명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사기나 기망을 이유로 계약을 취소하거나 무효를 주장하려는 경우, 주장을 하는 당사자(이 사례에서는 피고)가 상대방의 기망행위와 그로 인한 자신의 착오를 구체적인 증거로 입증해야 합니다. 단순히 상대방의 말만 믿고 계약을 체결했다가는 향후 분쟁 발생 시 입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소송에서 주장했던 내용이 현재 소송과 상반될 경우, 신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모든 법적 절차에서 일관된 주장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