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가 서로의 잘못으로 인해 혼인관계가 파탄되어 이혼하고 자녀의 친권과 양육권을 결정한 사건
광주가정법원 2021. 6. 25. 선고 2020드단37127, 2020드단35244 판결 [이혼]
원문 보기판결문 요약
원문 보기이 사건은 2016년에 혼인신고를 한 부부가 혼인 중 발생한 갈등으로 인해 2020년부터 별거하고 있으며, 이혼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원고는 피고가 화를 내며 물리력을 행사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었고, 피고는 원고가 가사와 육아를 소홀히 한다고 생각하며 불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두 사람은 부동산을 매각하고 그 대금을 나누어 보관하고 있습니다. 원고는 피고의 폭행과 게임 중독을 이혼 사유로 주장하며 위자료를 청구했고, 피고는 원고의 유기와 부당한 대우를 이혼 사유로 주장하며 위자료를 청구했습니다. 판사는 양측이 이혼을 원하고, 혼인관계가 회복 불가능한 정도로 파탄되었다고 판단하여 이혼을 인용했습니다. 그러나 원고와 피고 모두 혼인관계 유지를 위한 노력을 충분히 하지 않았고, 갈등을 확대시킨 책임이 대등하다고 보아 양측의 위자료 청구는 기각했습니다. 재산분할에 있어서는 원고에게 더 많은 비율을 인정하고, 피고는 원고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해야 한다고 결정했습니다. 친권자 및 양육자는 원고로 지정되었고, 피고는 매월 양육비를 지급해야 합니다. 면접교섭은 사건본인의 복리를 고려하여 정해졌습니다. 결론적으로, 원고와 피고는 이혼하며, 위자료 청구는 기각되고, 재산분할과 양육비 지급, 면접교섭에 대한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수행 변호사
이 사건과 유사한 사건
부부가 오랜 별거와 고부갈등으로 이혼하고 재산분할과 양육비를 정한 판결
가족이혼의정부지방법원 2022
이 사건은 1995년에 결혼한 원고와 피고 사이의 이혼 소송입니다. 원고와 피고는 모두 서울시 공무원으로 근무하였으며, 두 자녀를 두고 있습니다. 피고의 어머니 F와의 고부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로 인해 원고와 피고는 2010년부터 별거 중입니다. 원고는 피고와의 이혼을 결심하고 소송을 제기했으며, 피고 역시 원고를 상대로 반소를 제기했습니다. 원고는 이혼과 재산분할을 청구했고, 피고는 이혼과 위자료, 재산분할을 청구했습니다. 판사는 원고와 피고의 혼인관계가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파탄되었다고 판단하고, 혼인관계 파탄의 주된 책임이 피고에게 있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원고의 이혼 청구는 인용되었고, 피고의 반소 이혼 및 위자료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재산분할에 있어서는 이혼소송 변론종결일을 기준으로 하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원고와 피고의 재산분할 비율은 원고 70%, 피고 30%로 결정되었고, 피고는 원고에게 25,000,000원을 지급해야 합니다. 과거 양육비에 대해서는 피고가 원고에게 500만 원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원고와 피고는 이혼하게 되었고, 피고는 원고에게 재산분할금과 과거 양육비를 지급해야 합니다.
원고와 피고가 서로의 부정행위와 가출로 인해 이혼하고, 원고는 피고에게 위자료와 양육비를 지급하며, 친권자와 양육자는 피고로 지정된 사건
가족가정폭력이혼수원가정법원성남지원 2023
이 사건은 원고와 피고가 법률상 부부이며, 두 사람 사이에 자녀가 있습니다. 원고는 피고와의 이혼을 원하며 본소를 제기했고, 피고 역시 원고와의 이혼을 원하며 반소를 제기했습니다. 원고는 피고의 가출과 압박 행위를 이유로 이혼을 요구하며, 피고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피고는 원고의 부정행위를 이유로 이혼을 요구하며, 원고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판사는 원고와 피고의 혼인관계가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파탄되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원고의 부정행위가 혼인 파탄의 주된 원인이라고 보고, 피고의 반소에 의한 이혼 청구를 인용하며, 원고의 본소 이혼 청구는 기각했습니다. 또한, 원고는 피고에게 위자료 15,000,000원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재산분할과 관련해서는 원고와 피고의 재산분할 비율을 30:70으로 정하고, 피고가 원고에게 현금으로 지급하도록 결정했습니다. 자녀의 친권자 및 양육자는 피고로 지정되었으며, 원고는 매월 양육비를 지급하고, 면접교섭 권리가 주어졌습니다. 결론적으로, 피고의 이혼 청구와 위자료 청구는 받아들여졌고, 원고의 이혼 청구와 위자료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혼인 중 부정행위를 저지른 남편이 이혼과 재산분할을 요구했으나 기각된 사건
가족가정폭력이혼서울가정법원 2022
이 사건은 1994년에 결혼하여 두 명의 성년 자녀를 둔 부부 사이의 이혼 소송입니다. 원고(남편)는 회사원으로 근무하다가 퇴직했고, 피고(아내)는 전업주부로 가정을 돌보았습니다. 원고는 2017년 피고에게 이혼을 요구했으나 피고가 거부하자 별거를 시작했고, 이후 직장 동료와 교제하며 동거하기 시작했습니다. 원고는 혼인 초기부터 발생한 갈등과 성격 차이로 인해 혼인 관계가 파탄에 이르렀다고 주장하며 이혼을 청구했고, 피고는 이혼을 원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판사는 원고와 피고의 혼인 관계가 파탄에 이르렀을 가능성을 인정했지만, 원고가 주된 책임이 있는 유책배우자로서 다른 여성과 부정행위를 저질렀고, 피고는 여전히 이혼을 원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혼인 파탄의 주된 책임이 있는 유책배우자의 이혼 청구를 허용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없다고 보았고, 원고의 이혼 청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따라서 원고의 이혼 및 재산분할 청구는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피고가 부정행위로 원고에게 위자료를 지급하고 이혼한 사건
손해배상손해배상청구가족이혼인천가정법원부천지원 2020
이 사건은 원고와 피고가 법률상 부부이나, 피고의 부정행위와 생활비 부담 문제 등으로 인해 혼인관계가 파탄에 이르렀고, 원고가 이혼과 위자료를 청구하는 소송입니다. 원고는 피고의 부정행위와 생활비 부담을 이유로 이혼을 요구하며, 피고가 생활비를 거절하고 부정행위를 하였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피고는 원고의 경제적 압박과 간섭, 그리고 자녀에 대한 폭행을 이유로 혼인관계 파탄의 주된 책임이 원고에게 있다고 주장합니다. 판사는 원고와 피고의 혼인관계가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파탄되었으며, 이혼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혼인관계 파탄의 주된 책임은 피고에게 있으며, 원고의 이혼 청구와 위자료 청구는 인정되나, 피고의 반소 이혼 청구와 위자료 청구는 이유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원고의 이혼 청구가 인용되어 원고와 피고는 이혼하게 되었고, 피고는 원고에게 위자료 3,000만 원을 지급해야 합니다.
피고가 별거 중 혼인파탄의 주요 원인 제공자로 부정행위를 저질러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를 인정받지 못한 사안
가족이혼의정부지방법원고양지원 2022
원고와 피고는 법률상 부부이며, 사건본인이라는 자녀를 두고 있습니다. 원고는 피고와의 혼인 중 다른 이성과의 관계를 가졌으며, 이로 인해 피고와 갈등을 겪었습니다. 원고는 피고의 의심과 추궁이 부당하다며 이혼을 요구했고, 피고는 원고의 부정행위를 문제 삼으며 이혼에 반대했습니다. 원고는 피고와의 혼인관계가 회복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이혼을 청구했습니다. 판사는 원고와 피고 사이의 갈등이 있었지만, 원고가 피고에게 심각한 폭행이나 모욕을 받았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원고의 부정행위가 혼인관계 파탄의 주된 원인이라고 보았고, 원고의 이혼 청구는 유책배우자의 청구에 해당한다고 결론지었습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책배우자의 이혼 청구를 받아들일 수 없으므로, 원고의 이혼 청구를 기각하고, 이혼을 전제로 한 친권자·양육자 지정 및 양육비 청구도 이유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원고의 청구는 모두 기각되었습니다.